The Hound of the Baskervilles


2018











Originally etching consisted of 12 etching plates

Silkscreen version dimensions: 183x140 (cm) x 2, 380 x 140 (cm) x 1

Digital version: dimensions variables







Consisting of twelve etching plates, The Hound of the Baskervilles illustrates the cyclical existence of a hound-like creature, serving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ransgenerational trauma. Drawing inspiration from Arthur Conan Doyle’s detective novel <The Hound of the Baskervilles>, the narrative begins with the story of a monstrous dog that kills the heir to the Baskerville estate. In my interpretation, the hound becomes a symbol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trauma, particularly drawing parallels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ftermath of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and its far-reaching consequences.


The composition is informed by the visual language of medieval painting, specifically the stylized form found in Giotto’s frescoes, where events from different time periods are depicted within a single image rather than as a linear sequence. Within this framework, a monster roams across the scene while other monsters and their offspring gaze backward, either reflecting on the past or imagining their future. By reconfiguring the twelve etching plates, the final scene loops back to the first, creating a continuous cycle that mirrors the interminable wait for the decay of radioactive materials — a metaphor for the relentless passage of time and the enduring, unresolved consequences of past trauma.


This infinite loop of images evokes a sense of suspended existence, wherein time and space are trapped in a perpetual cycle that re-enacts death itself. My intention is to offer a contemplative exploration of how transgenerational trauma is inherited and how it continues to affect future generations. Through this work, I seek to provoke reflection on how historical catastrophes leave lasting imprints on descendants, shaping their experience of the present.


In addition to the etchings, I have created this body of work in various mediums, including large-scale silkscreen, installation, and video, to experiment with different modes of expression that can best embody the thematic essence of the work.






12개의 동판으로 구성된 The Hound of the Baskervilles는 바스커빌 가문에 대대로 후계자를 죽이는 괴물 개가 있다는 괴담으로 시작하는 코난 아서 도일의 추리 소설 <바스커빌가의 개>, 한국의 근현대사, 2011년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그 광범위한 여파에서 영감을 받아 세대를 거쳐 영향을 미치는 집단적인 트라우마를 은유한 작품이다.

The Hound of the Baskervilles는 중세 회화의 서사 표현 방식, 특히 지오토의 프레스코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양식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여 서로 다른 시대의 사건들이 선형적인 순서가 아닌 하나의 이미지로 묘사된다. 화면 안에서 네 발 달린 짐승이 등장하고, 어디론가 이동하고, 다른 짐승과 그의 자손이 과거를 되돌아 보는 듯이 자신이 이동해온 방향을 향해 있다. 열두 개의 동판을 재구성함으로써 마지막 장면은 다시 첫번째 장면으로 이어져 반복된다.

10만년의 반감기라는 우리에게는 기약 없는 기다림의 시간, 과거의 집단적인 트라우마와 회복을 위한 기약 없는 기다림의 시간은 희망적인 탄생 없이 죽음 그 자체를 재생산한다. The Hound of the Baskervilles는 시간과 공간이 죽음 자체를 재현하는 영원한 순환 속에 갇힌 정지된 존재감을 불러일으키며, 세대적인 트라우마가 초래한 무한히 반복되는 일시 중단된 미래 속 삶의 반복되는 시간을 표현한다.

이 작업은 퍼즐처럼 맞춰지는 12 조각의 동판화로 제작된 이후 대형 실크스크린 설치, 영상 등 다양한 매체로 재제작되었다.







© 2018 Doi Kim